위와 같은 중요한 녀석들을 한꺼번에 모아서 하는 말이 있습니다.
벤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여담으로, 방학때 중고등학생들 위주의 수학학원 조교알바를 했었을 때, 최대,최소 구하는 문제들을 학생들이 많이 풀었다. 오답률이 높은 문제를 추려보니 도함수의 함수값이 존재하지 않은 곳에서 최대,최소가 나와 많이 틀리는 경향이 있었다.
실제로 문제들을 풀다보면 특이한 점에서 답이 나오는 경우가 많은데 놓치면 틀리기에 이렇게 내는것 같다.
'미적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분과 미분 순서를 바꿔도 되는 근거(라이프니츠 적분 정리) (0) | 2024.08.01 |
---|---|
도함수를 배우는 이유(feat.미분계수) (0) | 2024.04.07 |
이차형식,Hessian Matrix를 이용한 다변수함수 판정법 (0) | 2024.04.06 |
중간값 정리,미분계수 정의,도함수의 연속 (0) | 2024.04.05 |
함수의 연속(continuous)과 미분가능(differentiable) (0) | 2024.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