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극한정리가 뭔지 아냐고 물어본적이 있다. 그래서 정규분포로 수렴하는게 아닌가요?라고 답한적이 있는데, 실은 뭐가 정규분포로 수렴하는지에 대해 더 정확하게 서술해야한다.그래서 바로 중심극한정리(CLT)를 소개하고 싶었는데, 이는 대수의 법칙부터 연결되어 있어서 모두 소개하기로 한다.
내용은 수리통계학을 근간으로 했다.
이를 이해하는데 있어, 첫 번째로 알아야 할 내용이 마르코프 확률부등식(Markov Ineq.)이다. 이는 이후의 체비셰프 확률부등식을 이해하는데 있어 키포인트가 된다.
아래는 마르코프 확률부등식 증명과정이다.
아래 마르코프 확률부등식을 요약하자면,
어떤 실함수가 경계보다 작을 확률은 '기댓값/경계값'보다 항상 작거나 같다는 의미이다.
쳬비셰프 부등식은 이렇게 기억하면 편하다.
'분포의 디폴트 하한값 제공'
체비셰프가 뭐길래 그렇게 중요하다 할까?
체비셰프는 분포의 특성을 몰라도 가장 기본적인 하한값을 정해준다. 아무 특성을 모르지만 경계치를 정해준다니..
매우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우리의 목표는 Thm3.12 표본평균이 모평균으로 확률적수렴하는 것을 증명하려고 이 긴 내용을 보는 것이다.
아래는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이다.
이제 거의 다왔다. 이제 더 큰 틀인 분포수렴에 대해서 알아보자.
이는 분포자체도 수렴성이 있다는 "정의"를 의미한다. 집요하게 의문을 가지지 말자.
'수리통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EM알고리즘(완벽한 가능도함수의 기댓값의 최대화와 직결되는 이유) (0) | 2024.10.02 |
---|---|
자유도가 n-1인 카이제곱분포 증명 중 y_i와 y_1들의 독립성판단 (0) | 2024.08.27 |
확률표본(랜덤샘플)과 적률생성함수의 관계를 이용한 중심극한정리 증명 (0) | 2024.08.24 |
[R] 결합확률밀도함수 구간별 시각화 (0) | 2024.08.14 |
중심극한정리와 정규성검정 시각적 확인, 통계적 검정(Shapiro_test()),왜도와첨도를이용한 검정 (1) | 2024.06.02 |